본문 바로가기

지하안전평가4

간단하게 알아보는 환경영향평가 놀고 있는 땅에 새로운 신도시를 개발하거나 건축물을 설치한다고 해봅시다. 사람의 힘으로 도시화하거나 산업화하면 원래의 환경에서 무엇인가 변하게 되겠죠? 변해버린 지형, 구조물 등으로 인해 해로운 결과들이 초래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나라는 이런 상황들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라는 제도가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환경영향평가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환경영향평가의 정의 「환경영향평가 법」에서 규정하는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의 사업 계획을 수립하려고 할 때에 그 사업의 시행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조사·예측·평가하여 해로운 환경영향을 피하거나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말합니다. 환경영향평가의 영역은 자연 생태환경 분야, 대기 환경 분야, 수환경 분야.. 2023. 4. 10.
유한 요소 해석 시 인접 건물 하중 계산 지반공학에서 굴착공사를 프로그램 해석할 때 초기 상태의 모델링이 중요한데 그중에서도 건물 하중, 즉 '인접 건물 하중에 대한 초기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 모델링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본 포스팅에서는 굴착공사의 관점에서 인접 건물 하중을 산정하는 방법과 지하 안전평가에서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겠다. 흙막이 가시설 설계 시 인접 건물 하중 흙막이 가시설 설계 시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탄·소성 보 해석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는 SUNEX와 MIDAS GEOX가 있다. 프로그램 사용에서 인접 구조물의 하중을 넣어주는 항목이 있는데 「일본 건축 학회」의 '단위 면적당 건물 하중의 개략 값'을 참고해서 산정했었다. 「지하안전법」.. 2023. 3. 31.
지하안전평가 수치해석 하중 계산 방법 지하 안전평가 제6장 지반 안전성 검토 부분에서 수치해석을 할 때 인접 건물의 하중을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그리고 각 부재의 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단위중량은 어떤 값을 넣어야 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지하 안전평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치해석 시 하중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설계하중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외력 중에는 토압, 수압, 장비 하중 등의 하중과 검토 범위 내에 있는 인접 건물 하중과 인접도로를 통행하는 교통하중 등이 있다. 이런 하중들은 흙막이 벽체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변 하중들의 수치는 매우 중요하다. 고정하중 이 글을 보는 사람은 거의 토목공학 전공을 했을 것으로 가정한다면, 학부 때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대해 들었을 것이다. 특히 LRFD 설계를 해.. 2023. 2. 13.
지하안전평가서 표준매뉴얼 2022년 4월 지하안전평가서의 표준매뉴얼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용어가 바뀐 것이네요. '지하안전영향평가'에서 '지하안전평가서'로 개정되었고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에서 '착공 후 지하안전조사'로 변경됐습니다. 이 외에도 특례조항이 추가신설되었으며 3차원 해석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언급되어 있습니다. 지하안전평가서 표준매뉴얼 2022년 4월 2차 개정판입니다. 2022년 04월 2차 개정판 지하안전평가서 표준매뉴얼 다운 용어 개정 예시 지하안전영향평가 → 지하안전평가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 소규모 지하안전평가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 착공후 지하안전조사 특례조항 추가 신설 건축법에 따른 건축물 설치사업, '지하안전법 제19조의2(건축물의 건축사업에 대한 승인등의 특례)'관련 - 첨부파일 참조 3차원 수치해석 적용 .. 2023.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