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접건물하중계산2

유한 요소 해석 시 인접 건물 하중 계산 지반공학에서 굴착공사를 프로그램 해석할 때 초기 상태의 모델링이 중요한데 그중에서도 건물 하중, 즉 '인접 건물 하중에 대한 초기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 모델링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본 포스팅에서는 굴착공사의 관점에서 인접 건물 하중을 산정하는 방법과 지하 안전평가에서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겠다. 흙막이 가시설 설계 시 인접 건물 하중 흙막이 가시설 설계 시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탄·소성 보 해석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는 SUNEX와 MIDAS GEOX가 있다. 프로그램 사용에서 인접 구조물의 하중을 넣어주는 항목이 있는데 「일본 건축 학회」의 '단위 면적당 건물 하중의 개략 값'을 참고해서 산정했었다. 「지하안전법」.. 2023. 3. 31.
지하안전평가 수치해석 하중 계산 방법 지하 안전평가 제6장 지반 안전성 검토 부분에서 수치해석을 할 때 인접 건물의 하중을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그리고 각 부재의 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단위중량은 어떤 값을 넣어야 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지하 안전평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치해석 시 하중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설계하중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외력 중에는 토압, 수압, 장비 하중 등의 하중과 검토 범위 내에 있는 인접 건물 하중과 인접도로를 통행하는 교통하중 등이 있다. 이런 하중들은 흙막이 벽체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변 하중들의 수치는 매우 중요하다. 고정하중 이 글을 보는 사람은 거의 토목공학 전공을 했을 것으로 가정한다면, 학부 때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대해 들었을 것이다. 특히 LRFD 설계를 해.. 2023. 2. 13.